전체 글 3677

지리산 노고단(1507m)

2024년12월14일 토요일성삼재주차장=임도=노고단휴게소=노고단삼거리=노고단(1507m)=성삼재주차장회귀도상거리(GPS)= 6km소요시간= 2시간40분노고단은 전남 구래군에 속한산으로 높이 1507m이며 노고단은 천왕봉, 반야봉과 함께 지리산을 대표하는 봉우리이며, 산을 좋아하는 사람들의 로망인 지리산 종주의 출발점이다. 노고단에 오르면 꼭 운해를 봐야한다. 노고단 운해는 산자락을 단숨에 섬으로 만들며 신비에 가까운 자연 절경을 연출한다. 이 절경 위로 붉은 태양이 솟아오르면 신선의 위치에 오른 것 같은 기분이 들 만큼 아름답다 노고단 정상부에 있는 돌탑 앞쪽이 일출을 촬영할 수 있는 포인트이며, 무넹기 전망대에서는 운해를 촬영하기 좋다 성삼재에서 노고단으로 약 30분 정도 가면 무넹기라는 곳이 나오는데..

지리산 2024.12.18

덕유산 향적봉(1614m)설경

2024년12월1일 일요일덕유산은 전라북도 무주와 장수군 경상남도 거창과 함양군 등 2개도 4개 군에 걸쳐 솟아 있으며 해발 1,614m의 향적봉을 정상으로 하여 백두대간의 한 줄기를 이루고 있다 향적봉은 덕유산의 최고봉으로 남한에서는 네 번째로 높은 곳이다 향적봉에서 중봉에 이르는 등산로에는 주목과 구상나무가 군락을 이루고 향적봉에서 중봉을 거쳐 덕유평전 무룡산까지 이르는 등산로에는 철쭉이 군락을 이룬다 철쭉이 피는 계절의 풍경도 일품이지만 눈이 특히 많이 내리는 향적봉 일대의 설경은 장관이다 등산로는 무주 리조트에서 곤돌라를 이용해 설천봉을 거쳐 향적봉으로 오른다

상제루의 겨울 풍경

2024년12월1일 일요일무주 덕유산리조트설천하우스에서관광곤도라를타고해발1,520m 설천봉에오르면설천 봉의상징인상제루가있다 옥황상제관이라는 깊은 뜻을 갖고 있는 상제루는 지난 1997년에 지어진 후 설천봉의 상징이 된 총 3층 높이의 기와지붕과 한식 우물반자형태의 팔각 목조건물로 각 층의 지붕은 내림 마루 3단으로 전통적인 한식 기와 잇기를 하였으며 옥항상제관의 최상단의 지붕에는 화강석으로 제작된 절병통(1톤)을 설치하여 팔각정의 규모와 상징을 과시하고 있다 백두대간의 끝자락에 자리하고 있으며 어머니의산이라 불리울 만큼 덕유산은 여성의 기가 강하다고 알려져 있다 풍수 지리학적으로 여성의 기가 너무 강하다고 하여 상제루를지어 기를 눌러 음양의 조화를 이루도록 지었다고 한다 또한 상제루에서 바라보는 향적봉과..

강천산 계곡

2024년11월30일 토요일강천산은 1981년 전국 제1호 군립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매년 많은 사람들이 다녀간 명산이다  강천산 전망대가  있는 산성산을 끼고 그 사이에 난 골짜기를 따라 산책하기 좋은 곳이기도 하다 강천산 계곡에는 더위를 피해 많은 사람들이 찾아온다 길이가 약 3.5㎞ 되는 강천 계곡에는 7개의 다리가 있다 제2 주차장 옆에 있는 광덕교(廣德橋)와 매표소 지나서 처음 나오는 다리인 신선교(神仙橋) 병풍 폭포 옆에 있는 항아리 모양의 다리인 도선교(道詵橋) 등산로 4코스가 시작되는 지점에 있는 고추 모양의 다리인 금강교(錦江橋) 메주 모양의 다리인 송음교(松陰橋) 강천사가 가까워졌음을 알리는 극락교(極樂橋) 현수교 올라가는 목책 계단 밑에 있는 십장생교(十長生橋)가 있다 순창이 장류의 ..

대구 달서 대명유수지(억새와갈대)

2024년11월24일 일요일대구 달서구의 달성습지와 대명유수지가 한국관광공사 가을시즌 비대면 안심관광지에 뽑혔다 달성습지는 낙동강과 금호강이 만나 빚은 천혜의 내륙습지로 다양한 생물의 보금자리다 천연기념물인 흑두루미와 맹꽁이 삵 청둥오리 등 다양한 야생 동 식물이 서식하는 생태자원의 보고다 우리나라 최대 맹꽁이 서식처로도 알려진 대명유수지는 1992년 성서산업단지의 침수피해를 막기 위해 조성된 25만8000㎡ 규모의 유수저류 시설이다 대구시는 맹꽁이와 습지생물 등 생태환경 보존을 위해 달성습지와 대명유수지 일원에 맹꽁이 서식환경개선에 힘쓰고 있다 특히 탐방데크를 중심으로 억새와 갈대가 펼쳐져 진풍경인 대명유수지는 가을철 사진 명소로 많은 시민들이 찾고 있다  달서구 대표 관광명소인 달서9경 중 5경에 포..

대구 팔공산 케이블카

2024년11월24일 일요일팔공산케이블카는 경사가 있고 긴 코스이기에 경치를 구경하면서 동시에 스릴도 함께 누릴 수 있다. 정원이 6인승이며, 24대가 40초 간격으로 자동 왕복 순환한다. 케이블카 정상역은 신림봉 꼭대기에 위치하고 있으며, 비로봉 정상에 있는 제천단과 동쪽 갓바위 부처님과 함께 기복신앙의 대표적인 장소이다. 케이블카 정상역은 제천단과 대구월드컵경기장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며 봉황이 날개를 펴고 날아오르는 형상에서도 몸통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풍수지리적으로도 아주 좋은 기운을 가진 곳이다. 케이블카뿐만 아니라 식당, 카페가 있어 식사 등이 가능하며 산책로도 조성되어 있어 케이블카를 탄 후 가볍게 산책을 즐기기 좋다. 이 때문에 가족 단위의 관광객이 많이 방문하는 편이다 키이블카요금은 성인 왕복..

강진 병영성

2024년11월12일 화요일강진 전라병영성(全羅兵營城)은 조선 태종 17년(1417년)에 설치되어 고종 32년(1895년) 갑오경장까지 조선조 500여 년간 전라남도와 제주도를 포함한 53주 6진을 총괄한 육군의 총지휘부이다.그러나 1894년 갑오농민전쟁(동학)을 맞아 병화로 소실되었고, 이어 1895년 갑오경장의 신제도에 의해 폐영되고 말았다. 병영성 성곽의 총 길이는 1,060m이며,높이는 3.5m, 면적은 93.139㎡(28.175평)인데, 현재 사적 397호로 지정되어 있다 병영성 내의 당시 건물이나 유적은 소실되고 없으나 성곽은 뚜렷이 남아 있어, 그 역사적 의의를 고려하여 현재 복원 중이다.특히 병영성은 서양에 우리나라를 처음으로 소개했던 하멜이 1656년 강진 병영으로 유배되어 7년 동안 살..

영암 월출산 기찬묏길 1구간

2024년11월12일 화요일천황사주차장=대동재까지 10km월출산 기찬묏길은 천황사지 주차장부터 영암군 미암면 미암리까지 총 다섯 개 구간 40㎞에 달하는 코스를 구성 하였다 1구간은 천황사 주차장에서 월출산 기찬 랜드로 총 길이 7.5㎞로 영암의 기를 체험하고 이해하는 구간이다  2구간은 월출산 기찬 랜드에서 월암 마을에 이르는 총길이 7.9㎞로, 가야금 산조의 창시자 김창조와 월출산 12대 기암, 한옥과 장승, 영암 도기를 체험하는 문화 체험 구간이다. 3구간은 월암 마을에서 학산 용산 마을에 이르는 총 길이 7.8㎞로 왕인 박사와 도선 국사의 삶을 살필 수 있는 역사 체험 구간이다. 4구간은 용산 마을에서 학산 마을에 이르는 총길이 8.9㎞로, 월출산과 영암의 자연을 즐길 수 있는 생태 체험 구간이다..

둘레길 모음 2024.11.22

영암 성풍사지 5층석탑(보물제 1118호)

2024년11월12일 화요일영암군 영암읍 용흥리 성풍사터에 있는 고려시대의 5층석탑으로 1992년 1월 15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총 높이 5.16m, 기단 높이 1.70m이다 1986년 해체, 복원할 때 1층 탑신 상면의 사리공(舍利孔)에서 탑지(塔誌)와 청자 사리단지가 발견되어 여기에 '統和二十七年己酉'의 명(銘)이 있어 1009년(고려 목종 12)에 조성된 탑임을 알게 되었다 구조양식은 2층 기단 위에 탑신을 세우고 상륜을 장식한 일반형 석탑이다. 기단부는 4매의 장대석으로 짜여진 지대석 위에 구성되어, 하층 기단 면석(面石)에는 두 우주(隅柱)와 하나의 탱주(撑柱)가 모각되고 2매의 판석으로 이루어진 하대갑석(下臺甲石)은 상면에 호형(弧形)과 각형(角形)의 괴임을 마련하여 상층기단을 받고 있다. 상..

영암 기찬들 국화축제

2024년11월12일 화요일국화의 빛으로 가을을 밝혀라를 주제로 열린 영암 기찬랜드국화 축제는 국화 전시와 야경 조명 음악 콘서트 등 다채롭고 풍성한 즐길거리로 관광객들을 맞았다 이번 월출산 국화축제는 온라인 포털 검색량을 합산해 순위를 매기는 전국 축제 트렌드 지수 10월 3위에 올라 남도 대표 가을 축제임을 알렸다 올해 축제에는 레이저와 포그머신을 활용해 환상적인 북극의 밤하늘을 재현하는 월출산 오로라(AURORA)가 매일 열려 큰 인기와 찬사를 받았다 축제기간인 지난 10일 한국트로트가요센터 주관으로 영암에서 처음 열린 청소년 트로트 가요제는 청소년들의 트로트 사랑과 열정이 가득한 무대였다 예선을 거쳐 본선에 진출한 7개 팀이 선의의 경쟁을 펼쳤다 경기 광주시에서 참가한 구민서 학생이 용두산 엘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