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7월22일 화요일
죽림재는 전라남도 기념물제 99호로 1987년지정 되여있다
죽림재는 전라남도 고서면 잣정마을에 창년조씨의 문중이며 후학들을 가르치기 위한 교육기관 으로 서당(향교)와 갇다 1430년경 마을이 형성되어 분향(芬香)이라 불렀으며, 정조17년(1793)에 마을동편에 큰 잣나무와 정자가 있어서 잣정(栢亭)으로 개칭하였으며 죽림재는 마을의 남쪽 산기슭에 위치하고 있는데 건립 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죽림 조수문(竹林 曺秀文·1426~?)에 의해 건립된 정사(精舍)로써 초기에는 창녕 조씨 문중의 강학 장소로 이용됐으나 후일 서원의 형태를 띄고 후손들에 의해 그 원형이 현재까지 잘 보존되고 있다. 죽림재는 초기 건물은 1592년 임진왜란 때(그러나 정확한 기록은 없음, 이를 뒷받침하 듯 표지판에 기록된‘1592년 임진왜란시 소실’부분을 칼로 긁어 빈 란으로 둠) 귀중한 문적(文籍)과 함께 소실되었고, 1623년 인조 1년에 죽림의 6대 손인 삼청당 조부(三淸堂 曺 簿)에 의해서 중건 되었다. 그후 죽림의 아들인 운곡 호(雲谷 浩)의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1708년에 문인과 후손에 의해 죽림사(竹林祠)가 건립, 1751년에 죽림재와 같은 위치에 죽림사를 이건 하였다. 1868년 고종 5년 대원군의 서원 훼철령으로 훼철되었다가 1948년에 복원돼 현재 4위(죽림 조수문, 운곡 조 호, 삼청당 조 부, 소은 정민하)를 배향하고 있다.죽림은 학문이 빼어났으며, 효심이 지극해 부모를 봉양하기 위해 벼슬살이에 나가지 않은 선비로 알려져 있다.그의 학문은 강 호, 김숙자의 학맥을 승계, 점필제·김종직 등과 교유해 학문을 넓혀 당시 재상 김포광이 왕명을 받아‘역학계몽(易學啓蒙)’을 저술할 때에 많은 자문역할을 했다. 훗날 점필제는 죽림을 ‘호남의 진짜 유학자’라고 칭송하기도해 그의 인품과 학식을 어느정도 짐작할 수 있다. 그런 가문의 기풍 탓인지 이 마을에는 여러 기의 효자비가 곳곳에 세워져 있다.죽림의 저서로는‘성학지남(聖學指南)’‘작불론(作佛論)’이 있으며 박신극(朴新克)은 호남의 유생이 죽림으로부터 시작되었다 하였고, 그 문하로서는 판서 윤달화, 현감 강백령, 교리 조 호 등이 대표적이다.죽림 조수문은 여말 충신직제학유도(麗末忠臣直提學由道)의 아들이고, 성종조 문신 교리호(成宗朝文臣 校理浩)의 아버지인 만큼 그 당시의 지위를 짐작할 수 있으며, 300년 전 절와 박신극의 행장에 호남유학이 공으로부터 시작되었다 하였으니 비록 죽림의 문집은 전하지 않지만 그 말에 신빙성을 뒷받침해주고 있다.이 죽림재 취사당, 세일재, 정려, 유허비 등을 개별적으로 논하자면 그리 특이한 점은 없다. 그러나 한 문중 선대 명인들의 유적이 이렇게 모아있는 곳은 드물다. 수 백년 내려온 선조유적을 잘 보전·보수하는 후손들의 정성 또한 눈여겨 볼만하다.갈수록 예와 덕이 사라지는 현대사회에서 가문의 역사를 고스란히 담고 있는 죽림재와 같은 경우는 사실 보기드믄 일이 아닐 수 없다.
'전국의 서원(書院)'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봉례면 덕양서원 (0) | 2014.08.13 |
---|---|
고흥 서동사(재동서원) (0) | 2014.08.09 |
사천 구계서원 (0) | 2014.05.31 |
곡성 덕양서원 (0) | 2014.05.21 |
해남읍 미암서원 (0) | 2014.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