릉(稜) 고분 (古墳)

경주 김유신(흥무대왕)릉

雲高 金容捧 2022. 4. 24. 18:23

2022년4월2일 토요일

김유신의 묘는 송화산(松花山) 줄기가 동쪽으로 뻗어 전망이 좋은 구릉 위의 울창한 소나무숲 속에 자리잡고 있다. 1963년 1월 21일 사적 제21호로 지정되었다 김유신묘는 지름이 30m에 달하는 원형의 큰 무덤이다. 봉분 둘레에는 둘레돌〔〕을 두르고 그 외곽에는 바닥에 깐돌〔〕을 깔았으며, 돌난간〔〕을 둘렀다. 둘레돌은 대체로 통일신라시대 왕릉의 둘레돌과 같은 양식의로서 벽석()·연헌석(), 연대석()으로 짜여 있다 둘레에는 95㎝ 높이의 탱주석()을 세웠는데 소면석()과 신상석()을 교대로 배치하였다. 신상석은 모두 12개로 자상(: 쥐)·축상(: 소)·인상(: 호랑이)·묘상(: 토끼)·진상(: 용)·사상(: 뱀)·오상(: 말)·미상(: 양)·신상(: 원숭이)·유상(: 닭)·술상(: 개)·해상(: 돼지) 등 십이지신상이 새겨져 있다 이 십이지신상은 다른 왕릉이 갑주무장상()을 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평복에 무기를 들고 있으며 모두 오른쪽을 향하고 있고 몸〔〕은 ‘을()’자형으로 틀었다. 새김은 대체로 엷게 새긴 느낌을 주나 그 수법은 세련되고 능숙하다 능묘의 둘레돌은 옛 신라시대부터 비롯되는데 통일신라시대에 이르러서는 봉분표식 방법으로 전환하여 둘레돌 장치와 십이지신상을 새기는 등 묘요()를 정비하였다. 이 묘의 봉분표식 구조와 양식은 흥덕왕릉의 봉분표식과 비슷해 김유신이 흥덕왕 때 흥무대왕()으로 추봉()됨과 동시에 시설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이곳 묘역에서 납석제() 십이지신상인 묘상과 오상 2개가 발견되었다. 높이가 30㎝인 소상()들이고 갑주무장상이라는 점에서 특이하다. 또한 봉분표식으로서의 십이지신상의 의장과 묘역매설로서의 십이지신상의 의장이 중복되어 있어서 주목된다

 

'릉(稜) 고분 (古墳)'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 내물왕릉  (0) 2019.11.05
경주 천마총  (0) 2019.11.04
경주 대릉원(미추왕릉)  (0) 2019.11.03
경주 쌍쌍총  (0) 2019.11.03
경주 지마왕릉  (0) 2018.03.14